2011/09 17

창업은 불확실과의 싸움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1년 09월 20일 Entrepreneurial Articles #0 창업은 불확실과의 싸움 Start-up is fight with Uncertain  (사진 : 초행길은 늘 불안과 설레임으로 가득하다. 지도라도 있으면 불안은 조금 줄어든다. 일본 교토 NICT가는길) #481390 창업은 불확실과의 싸움이다. 불확실(Uncertain)은 불확신(Un-conviction)과 의미가 상통한다. 불확실은 객곽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인식(Cognition)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개 모든 미래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핵심은 바로 가능성(Possibility)이다. 현실 가능성이 얼마 만큼 되느냐의 문제와 어떤 판을 만드냐의 대답에 따라 인식의 과정은 나누어진다. 결국, 창업가의 상황인식..

제 37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는 벤처다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Entrepreneur's Diary #037 제 37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는 벤처다. (사진 : 일본 쓰나미 피해현장, 한 치 앞을 볼 수 있다면 지금처럼 답답하거나 설레이지 않을 것이다.) #89023 기업가정신 세계일주에서 나는 매일 불확실과 싸워야만 했다. 심지어는 꿈 속에서도 마찬가지다. 결국, 그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방법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특히, 가능성이 낮은 것일 수록 더욱 힘든 싸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통계학적으로 다른 이들도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은 통계학적으로 다른 이들도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여 시도하지 않는다. 남들이 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렵지만 이룰 수 있다면 가장 확실하고 큰 성공의 것이다. 그것은 결국 창업가의 시각의 ..

[번역] 자원봉사자 모집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번역]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 기업가정신 세계일주는 기업가정신을 통해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한, 전 세계 청년창업가들을 취재하고 컨텐츠를 제작/배포하는 사회혁신형 청년프로젝트입니다. 2010년 11월 18일 중국을 시작으로,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미국, 캐나다, 일본을 탐방. 약 8개월 동안 10개국 100여명을 취재, 1차 탐방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글로벌 파트너 :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G20 Young Entrepreneur Alliance -미디어 파트너 : 노동부 공식 블로그, DIGIECO(KT경제경영연구소), DBR(예정), Venture@Square, OnSuccess, 디트뉴스24, 한국대학생벤처신문 등 -후원 : 한남대..

제 36화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1년 09월 14일 Entrepreneur's Diary #036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 마고북스)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대학원 선배인 목영두(한맥투자증권 기획경영본부장)선배의 추천때문이였다. 사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준비과정 초반에 관련 정보를 찾다가 알게된 책인데, 그때 구입을 하고 책장에 모셔놨던 책이다. 목선배의 추천으로 책장에서 다시 꺼냈다. 그래도 책 내용을 읽기 보다는 책 내용의 편집구성을 살펴봤었다. 사실 이들이 만든 내용보다는 이들이 만든 결과물의 구조가 궁금했던 것이다. 그 일정한 구조를 분석하면 인터뷰를 어떻게 했는지를 알 수가 있고, 어떤 부분에 포커스되어 있는지 알 수..

싱가포르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 현황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자료출처 : http://s.kotra.or.kr:8080/s/104788) 스프링 싱가포르는 친구가 한 명 있다. 이번에 WEF가 성황리에 잘 치뤄지고 있는지 모르겠다. WEF의 씽크탱크 멤버로 이민화 회장을 추천해서, 초대장까지 발급되었으나, 최종적으로 이민화 회장님이 고사하여서 좀 난감했던 기억이. 여튼, 관련 정보라서 좀 재미있네. DSC05189 by flowerguy 싱가포르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 현황 보고일자 : 2006. 5. 31 김현아 싱가포르 무역관 kortrade@singnet.com.sg □ 싱가포르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 ㅇ 싱가포르는 지식기반경제 시대를 맞아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들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왔음. - 중..

인도네시아, Regional Entrepreneurship Summit 개최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자료 출처 : http://s.kotra.or.kr:8080/s/104787) Wet by *saipal 인도네시아, Regional Entrepreneurship Summit 개최 □ Regional Entrepreneurship Summit ○ Regional Entrepreneurship Summit을 2011년 7월 22일 ~ 7월 24일 발리에서 개최 - 첫 번째 Entrepreneurship Summit은 2010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됐으며, 이 Summit의 목표는 미국과 이슬람권과의 사회·정치·경제적 융화였음. -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경제발전의 기회와 지역공동체의 진보를 육성하는데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을 역설 - 이번 발리 Summit에선 새로운 벤처 비즈니스야말로 미래의 경제를 이끌..

Entrepreneurs Do Three Things!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1년 09월 09일 Entrepreneurs Do Three Things! 창업가는 3가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자료 : Kauffman Foundation) "창업가는 3가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창업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주제로 아주 명확하고 재미있게 설명하는 동영상입니다. 이런 식의 사업계획서를 만들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술창업자의 정의(Definition of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1년 09월 07일 Entrepreneurial Article # 기술창업자의 정의 Definition of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 (인터뷰 전 호텔로비에서 무언가 메모를 하고 있는 나, 러시아) 기술창업자(Technology Based Entrepreneur)의 개념 기술창업자(Technology based Entrepreneur) ‘기술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창업을 하여 부(wealth)의 창출을 목적으로 시장(market)에서 기회(opportunity)를 포착하고, 그가 인지(cognition)하고 있는 자원(resources)의 불균형(disparity)을 혁신적인 사고(thought)나 방법(process)으로 극복하고, 끊임없이 행동하는 올바른 사람’ 기술창..

청년창업(상) 추적! 벤처창업동아리 101명(중앙일보 특집기사)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기사 출처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ctg=11&Total_ID=6127771 창업동아리 출신의 행보를 추적하는 것은 꽤 신선한 기획이였다. 10년정도 지났는데, 101명에서 13명이 아직 창업가로서 활동한다는 것은 나쁘지 않은 확률이라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생존률 6~7% 이하인데 반해, 약 2배 정도의 생존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창업동아리 출신들의 생존률이 일반 창업가보다 높다고 판단된다. [창간 기획 - 청년 창업, 실패를 허(許)하라] 추적! 벤처 창업 동아리 101명[중앙일보] 입력 2011.09.05 01:18 / 수정 2011.09.05 16:26벤처 패자부활전 없는 한국 … 빌 게이츠 꿈꾸던 90년대 벤처 동아..

청년창업(중) 3가지 벽이 창업을 막는다(중앙일보 특별기획)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기사 출처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136201&cloc=joongang|article|related_issue 독자들이 정확하게 이해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기사다. 실패를 허용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아닌, 실패한 이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해야된다. 실패에 대한 유연성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실패를 가볍게 생각하는 문화가 형성되면 안된다. 사업에서 실패는 본인만의 실패가 아니기 때문이다. 창업가가 가장 경계해야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것이 바로 '실패'이다. 솔직히 이런 유형의 기사는 창업문화 형성에 가장 저해요인이라 생각한다. 기자는 사회현상을 그대로 기사로 담아야겠지만, 한국은 의도적으로 올바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