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8일

Entrepreneurial Article

바보야, 문제는 국민의식 수준이야! - 혁신의 유효소비시장은 도대체 어떻게 만드는거야?



얼마 전부터 이 글이 SNS상에서 많이 돌았다.


바보야, 문제는 ‘시장’ 이야! – ‘스타트업’ 미국은 되고, 한국은 안되는 이유 : 혁신의 유효 소비 시장


글쓴이는 제목처럼 한국은 혁신의 유효소비시장이 없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안된다라는 것을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나는 글쓴이가 누구인지 잘 모른다. 그렇지만 나와 비교할 수 없는, 그가 매우 글을 잘 쓰는 사람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부럽;;)


현장에 있으면 문제는 시장이라는 것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안다. 

애시당초, 규모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규모가 적으니 유효소비시장의 규모도 적은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전문가로부터 간단한 상담을 받는 것 자체로 상담료를 내는데, 우리나라는 전문가로 부터 몇 시간 동안 실질적인 자문을 받아도 무료 또는 식사 정도의 보상?을 한다. 

내가 모 기관의 스타트업 심사를 갔을 때 에피소드다. 창업가들은 각기 열심히 만든 시제품 단계의 제품/서비스를 들고 나와서 설명을 했다. 심사위원은 해당 샘플을 직접 보고 싶다고 하더니, 나중에는 샘플을 자신에게 주면 안되냐고 창업가에게 물었다. 공.짜.로.

이것이 한국의 혁신 유효소비시장에 대한 현장의 적나라한 모습이다.


우리는 유효소비시장이 없어서 안된다는

그런 논리정연한 주장을 듣고 싶은게 아니다. 

문제가 시장이라는 걸 논리정연하게 이야기하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래서 어떻게 하면 유효소비시장을 만들고 증가시킬 수 있는가?이다. 그에 대한 방안이 없는 이 글은 '글을 논리정연하게 정말 잘 썼군!' 정도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컨텐츠다.


유효소비시장이라고 그럴싸한(?) 표현을 사용했지만, 결국 쉽게 이야기하자면 제품/서비스에 대해 우리가 돈을 낼 의사와 돈을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유효소비시장은 이 두 가지가 중요한 요인이다.


지불능력보다 지불의사(인식)가 더 중요하다. 

우리에게 왠만한 건 구매할 수 있게 해주는 신용카드와 할부제도가 있다. 신용카드와 할부제도는 곧 지불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만원 정도 하는 최신 휴대폰도 현금으로 바로 지불하고 구매한다면 우리가 이렇게 정기적으로 최신 폰으로 교환할 수 있었을까? 다시 한 번 이야기 하지만, 지불능력보다 중요한 것은 지불의사(돈을 낼지/말지) 또는 지불인식(아! 돈을 내야 하는구나)이다.


지불의사와 지불인식은 무엇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그 가치를 인정해서 화폐로 환산하는 과정이다. 이는 경제적 생산능력보다 지적/정서적/문화적 의식수준이 중요한 요인이다. 즉, 사회/문화적 경험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모나미 펜은 몇 백원이지만, 몽블랑 펜은 적어도 몇 십만원 정도 지불할만한 브랜드(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는 과정이며, 믹스커피에 천 원을 내라고 하면 비싸다고 느끼지만 스타벅스 원두커피에 6천 원을 내라고 하면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런 지불의사와 지불능력은 별개의 차원이다. 지불능력이 있어도 지불의사가 없으면 유효소비시장은 형성되지 않는다. 지불의사 또는 지불인식이 먼저 생겨야 지불능력을 고려해서 구매하는 유효소비시장이 형성된다.

유효소비시장이 형성되려면, 결국 사람들이 본인들이 받은 제품/서비스에 대해 가치를 인식하고 인정하여 돈으로 교환하려는 의사와 인식이 먼저 형성되어야 한다. 그것은 가치에 대한 인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 


다양한 표현(表現, Expression)은 

다양한 소비(消費, Consume)다.


결국, 소비자는 자신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제품과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는 것이다. 다양한 경험과 생각은 곧 다양한 욕구와 직결되며, 이는 구매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 다양성이 존중 받는 사회에서 성장한 이들은 다양한 욕구를 지니고 자유롭게 표출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자신을 표현할만한 제품과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는 것이다. 


한국은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가 아니다. 다양한 생각과 욕구를 표현하는 것 자체가 사회/문화/교육적으로 상당히 억압되어 있다. 이렇게 다양성이 존중받지 못하는 사회에서 다양한 욕구를 자유롭게 표출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욕구가 소비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한국사회는 인정에는 후하지만, 인정에는 인색하다. 넘치는 따뜻한 인정만큼, 다양한 경험과 존중 그리고 가치에 대한 인정이 많아져야 유효소비시장이 커질 것이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2년 12월 09일

Entrepreneurial Article
 
기업가정신 확산과 혁신형 창업 증진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노출과 인식개선이 필요




Paul Carttar & Carol Thompson Cole w/ David Gergen
Paul Carttar & Carol Thompson Cole w/ David Gergen by dpict.info 저작자 표시비영리


창업선도대학 또는 LINC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창업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대학 등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 훈련을 진행하는 대학에서 이런 저런 문의가 많이 들어온다. 기업가정신, 창업 교육 또는 보육에 대해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사업과 관련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최근 들어 느끼는 것인데, 각 대학 프로그램들을 보면 정말 좋은 기획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다. 훌륭한 기획과 계획, 세련된 진행과 훌륭한 성과들. 특히, 훌륭한 성과를 내는 프로그램이나 행사들의 변함없는 공통점이 있다. 담당자들이 하나같이 대한민국에서 알아주는 헌신적인 열성가들이라는 것. 사실, 그들의 프로그램이나 행사가 다른 프로그램이나 행사에 비해 특별히 독특한 것은 없다. 참가자들에게 별다른 차별화된 이익이나 혜택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왜 그 프로그램이나 행사만 유독 성황을 이루는 것일까! 그건 정말 담당자의 열정과 헌신이다. 똑같은 프로그램도 담당자에 따라 성과는 천외하기 때문이다. 나는 그것을 모 인큐베이션 행사를 가면서 늘 보고 듣고 느끼고 직접 확인한다


하지만, 기업가정신 창업 관련 행사나 프로그램에서도 실제 거의 대부분은 거품이 많이 껴있는 것이 사실이다. 전국에서도 이런 행사를 잘 운영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로 부족하다. 큰 행사를 하기 위해서는 행사에 참석자가 많아야 하는데, 대부분 인위적인 인원 동원에 의해 채워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실제, 서울권 대학이라고 해도 해당 행사에 정말 관심이 있어서 참석하는 인원은 몇 명에서 몇 십명에 불과 할 정도다. 실제 동원된 인원이 빠지고 난 뒤, 행사장은 정말로 초라하고 을씨년스러울 정도였으니까.


그나마 잘 되는 행사는 일부 유명한 행사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 해당 시장에서 특이하게 약진을 보이는 행사는 Start-up Weekend와 같은 행사. 보면 뭘 그렇게까지 참석하려고 하나 싶을 정도로 제한인원보다 몇 십명씩은 많이들 온다. 유료행사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들 행사는 모두 브랜드 중심의 행사이며, 모두 민간에서 운영된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사실, 대학에서 더 잘 기획하고 운영하는 곳도 많은데도 대학에서는 이에 관심이 있는 수요가 빈약하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한국에서 창업이 열풍!!과 같은 기사 문구를 보면 왠지 씁쓸해진다.


정확한 것은 대부분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창업은 그들의 관심 밖 대상이다. 우리 대한민국 청년들의 현 주소는 젊지만 생각은 노인보다 더 굳어져 있을지도 모른다. 그 가운데에서 어떻게든 기업가정신을 고취 시키고 창업에 대한 관심과 열기를 달구려면, 보다 많은 노출과 인식개선 활동이 필요하다. 


보다 많은 노출과 인식개선활동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해야하는 것일까? 나는 그에 대한 답 중에서 '문화'와 '재미'라는 키워드에 집중을 하고 있다. 나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경영에서 문화적 요소를 통해 재미와 인식(노출)을 증대시키는 기획을 많이 하는 편이다. 물론, 올바른 인식이 중요하다. 정확한 답은 없다.


그저 그것은 여러분들과 내가 해결해야 할 숙제일뿐.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07월 07일



#016 삐딱하게 - 강산에






삐딱하게
                                             강산에

너무 착하게만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네)
너무 훌륭하게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네)

TV를 봐도 라디오를 켜도
삐따기의 모습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네)
있는 그대로 얘기할수 있는 삐따기

조금 삐딱하면 (이상하게 나를 쳐다보네)
조금 삐딱하면 (손가락질 하기 바쁘네) 

훌륭한 사람 착한 사람들이
모든 사람들이 (자기들이 바르다고 하네)
오늘 하루도 그렇게 저물어 가는데

삐딱 하게 삐딱 하게 
삐딱 삐딱 하게 삐딱 삐딱 하게
삐딱 하게 삐딱 하게 

그가 서 있는 땅 삐딱하게 기울어져 있네



가끔은 삐딱한 시선이 나쁘지 않을 때가 있다.
그것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남들과 다른 시선을 말한다.

우리는 일부러 일상에서 만나는 것들에게서 멀어지거나 삐딱하게 봐야할 필요성이 있다. 마치 물구나무서기를 해서 세상을 바라보듯이 말이다. 그 시선의 차이가 바로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다. 그 시선은 곧 재 인식의 과정을 불러 일으키고, 재 인식을 통해 새로운 발견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세잎클로버와 같은 일상의 즐거움이자 축복이다.

그 발견을 계기로 치열함 끝에 사고의 전환(또는 인식의 재구성)을 낳을 수 있다. 그것은 사업을 하기 위한 '현실적 기회의 창조'라고 생각한다. 이 과정은 사업 뿐만 아니라 어느 분야에서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창조의 과정이다.

여담이지만, 나는 피카소의 작품을 좋아하는데, 피카소는 이런 면에서 정말 뛰어난 작가이다.
(나는 그를 우리 피형, 또는 피작가라고 부른다. ㅋㅋ 이번 여행을 하면서 전 세계의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그의 작품을 다 둘러보고 있어서 행복하다.)

지금까지 수많은 일면식을 가졌으니, 편안하게 '우리 피형'이라고 불러도 상관없을 것이다. ㅋ


이 모든 과정은 바로 삐딱한 시선이 좋은 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우리는 깨닳아야 한다.
삐딱한 시선. 그것이 주는 일상의 기회. 그것은 빠르고 깊숙하게 시장으로 파고 들 수 있는 파격적이고 대중에게 친숙한 기회이다.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이 세상이 삐딱하게 기울어져 있다는 그 사실로 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Song for Entrepreneu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