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토요일 과학/기술 문화 확산을 위한 #토요부흥해>

일       정 : 2023년 02월 18일(토) 16:00 ~ 18:00
강       사 : 한양대학교 김항배 교수
내       용 : 빅 히스토리 – 우주, 지구, 생명, 문명을 잇는 역사
장       소 : Cafe QUA (대전시 유성구 신성로61번안길 53)
비       용 : 1인당 1만원
신       청 : https://forms.gle/Q7vooY1c8bPmPgJs7
문       의 : 042-867-5897   sciencecafekorea@gmail.com

 


Café QUA는 2023년 빅히스토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빅뱅과 다양한 우주관, 별과 물질의 기원 등 빅히스토리의 세부 주제를 매월 즐겁고 유익한 강연과 토론, 체험, 세미나 등 다채로운 컨텐츠 형식으로 선보입니다.


다음과 같이 각 소주제로 매월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2월 빅히스토리, 3월 빅뱅과 다양한 우주관, 4월 별과 물질의 기원, 5월 태양계와 지구, 6월 생명의 탄생과 진화, 7월 인류의 탄생, 8월 농경과 문명, 9월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 10월 초연결과 초가속/확장, 11월 미래과학/기술과 AI, 12월 또 다시 우주.

그 첫 걸음으로 이번 행사는 빅히스토리의 개괄적 핵심내용을 살펴볼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와 함께 훌륭한 컨텐츠를 준비하였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과학은 즐겁다 - QUA

 


#빅히스토리 #김항배 #한양대 #교수 #우주 #지구 #생명 #문명 #역사 #Café #QUA #쿠아 #cafe #카페 #과학 #탐험 #카페맛집 #카페추천 #카페쿠아 #대전 #과학도시 #대전여행 #머스트잇 #유성구 #유성구카페맛집 #유성구맛집 #유성구카페 #신성동 #신성동케이크 #신성동카페 #신성동맛집 #과학카페 #과학카페쿠아 #에스프레소바 #에스프레소 #카페쿠아 #쿠아카페 #토요부흥해 

2015년 7월 18일


Entrepreneur's Diary #133

#제 133화 Perigee 페리지 비영리 로켓 개발팀

ΔV 2015 컨퍼런스 참가




홈페이지를 둘러보고 페리지 멤버들에 대한 내 느낌은 보기 보다 젊은 사람들이 로켓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구나였다. 그런데 정작 행사장에서 본 멤버들의 모습은 충격적이였다.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심지어 중학생도 있다는 점이 나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이런 전문성과 열정은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정말로 충격 그 자체였다.


이 행사에 참석하면서 가졌던 '도대체 어디서 행사가 하고 있는거야??', '참가비 결제를 했는데도 왜 내 이름은 명단에 없어서 이렇게 불편하게 만드는거야??' 와 같은 불만들이 그럴 수 있겠구나라는 이해와 로켓에 대한 이들의 열정과 전문성에 다 녹아 없어졌다.


조만간 여유가 생기면 그동안 유니세프에 하던 후원금의 절반은 페리지에 정기후원을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조금만 기다려요! 페리지 멤버들.






KYSS

발표자 : 한국청소년우주학회 회장 




Team Uzuro 

발표자 : 우주로 동호회 김신형

나로호 폭팔로 인해 발표자는 우리나라 로켓에 대한 관심을 가짐.

취업과 진학을 위해 로켓을 개발함.

영리를 목적으로 로켓을 개발하는 대학생 동호회로 발전.

미국에는 많은 로켓 동호회가 존재. SpaceX 등의 기업의 핵심연구개발인력은 아마추어 동호회 출신.




국립고흥청소년 우주체험센터 NYSC우주과학동아리 

발표자 : 조선대학교 이성문(tjdzlr1@gmail.com)

고고도 헬륨풍선을 이용한 로켓발사 시스템 개발

로켓 발사대 자체를 헬륨풍선을 띄워서, 상공 20km 높이에서 로켓을 발사하는 아이디어.




Perigee Team


발표자 : 장효섭 메카트로닉스 부장, 부산센텀고등학교

EEU 수십년간 기술의 발전이 없던 부품 (EEU : 로켓 엔진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기존 EEU는 8080CPU를 사용하여 제작함.

이들이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EEU 시제품 부품과 동작 원리, 설계도면 등 자료를 하나씩 보여주며 설명함.


발표자 : 안태우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충?중학교

RTREC : Real Time Rocket Engine Computing 소프트웨어 개발.

1980년대 나사 연구원들이 개발한 로켓엔진을 위한 PEP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함.

RTREC은 1초에 로켓엔진의 데이터를 500번 연산하여, 최적의 밸브 제어 방식을 산출.

NASA SSME 콘트롤러와 Perigee EEU 콘트롤러의 성능비교함.


발표자 : 로켓 엔지니어 오지성

15kN급 액체 추진체 로켓엔진 연소기 개발.

연소기 재생냉각을 채택하여 재생냉각 해석 결과를 설명함.

저렴하면서 효율이 좋은 핀틀형 인젝터 채택.


발표자 : 로켓 엔진 시동 시스템 박상인 

ASI 점화기를 이용한 점화 방식 채택. 다양한 환경에서 밸브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성에서도 뛰어나고, 점화방식이 기존 추진제에서 액체메탄 등 동일한 연료를 끌어와 채택.


발표자 : 추진제 공급 시스템 설계 신동윤

터보펌프를 장착. 가스 발생기 사이클을 채택함.

3개의 연소기가 운영. 점화, 추진, 터보펌프에 연소기가 장착됨.

TSU 임펠러를 자체 설계하였고, 해당 모델링을 공개함. 40000rpm 정도가 최대치.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임펠러를 제작함. 일렉트로닉 포밍기술을 활용해서 추진체 연소기를 제작. 추진체 연소기 끝부분에 세라믹 파이버를 적용(다른 소재보다 간단하고 가볍고 내화성이 우수한 소재라서 이를 채택함)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