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과학/기술 체험/실습을 위한 #매월체험>

일       정 : 2023년 03월 25일(토) 18:30~19:30(10명) (2회차만 진행)
강       사 : (주)그림그린  김종열 작가
내       용 : 빛에 반응하는 감광의 과학적 원리에 대한 간단한 강의, 감광 원리를 활용한 예술적 활동 리소 그라피(Riso Graph) 체험
장       소 : 카페쿠아 QUA (대전시 유성구 신성로61번안길 53)
비       용 : 1인당 4만원(입금 완료 시 신청 완료됨)
문       의 : 042-867-5897   sciencecafekorea@gmail.com

이번 매월체험 프로그램은 우주의 시작, 빅뱅을 주제로 하는 만큼 빛을 활용한 체험으로 준비해보았습니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최후의 질문' 마지막 문장처럼, "빛이 있으라! 그러자, 빛이 있었다."에서 영감을 받아 빛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리소 그라피(Riso Graph)를 준비했습니다. 

감광의 과학적 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빛을 활용한 감광을 하고 우리의 예술적 활동을 쾅쾅 찍어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과학은 즐겁다 - QUA


*참가비 : 1인당 4만원
*농협 418-12-150688 송정현
*입금 후 참가 신청자의 변심/사정으로 인한 불참-환불은 안됩니다. 이점 양해 바랍니다.

 

#카페쿠아 #QUA #쿠아 #카페 #쿠아카페 #과학 #탐험 #카페맛집 #카페추천 #대전 #과학도시 #대전여행 #유성구 #유성구맛집 #유성구카페 #신성동 #신성동카페 #신성동맛집 #과학카페 #과학카페쿠아 #에스프레소바 #에스프레소 #과학은 #맛있다


2013년 06월 26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활동과정

Entrepreneurial Process

#융합과 통섭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의 아이디어



과학가들이 진행하는 기업가정신 / 창업교육?

예술가들이 진행하는 기업가정신 / 창업교육?

기술가들이 진행하는 기업가정신 / 창업교육?

문학가들이 진행하는 기업가정신 / 창업교육?



(Dream Painter 박종신 작가님이 내게 선물해준 有-Way)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이정모 원장님의 소개로 어류생태학을 하고 계신 모 박사님과의 대화를 했는데.. 너무나 즐거웠다. 이번 방학에는 순수과학 분야의 과학자들과 흥미로운 일들을 준비해보고 싶다.

새롭지만 새롭지 않은 접근이 전혀 다른 결과를 나타낼 것이다. 정말로 제대로 된 사람들과 함께하며 배우는 통찰력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내가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것은 태초의 목적과 목표이다. 기본이 단단해야 한다. 흔하게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을 이리저리 뒤집어보아야겠다. 그래야 정확하게 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모두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일수록, 더이상 기회란 없다고 생각할 때, 그것을 좀 더 유심히 바라보아야겠다.

다른 이들이 다 현상과 상황에 매몰되어 있을 때, 누군가는 그것을 뛰어넘는 관점과 통찰력으로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 본질적 의미를 계승하고 더욱 더 발전시켜야 한다. 절대적인 선과 악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우리는 늘 그 갈림길 속에서 끊임없이 유혹되고 갈등하면서 어떤 선택을 하게 되는 작은 존재인 듯 하다.

1+1=2에 대한 의문은 그에 따른 내 호기심의 발현.


(1+1=2인 이유가 사람들의 약속 때문이라면.. 최근의 약속?으로 보아.. 1+1=귀요미!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진리가 될 수 없는 것은 지속성이없기 때문인지도)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CITI BANK 895-12006-267-01
송정현(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3년 02월 11일


Entrepreneur's Diary #084

#제 84화 매일 부딪히는 것들



(사진 :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장면)


#489012

글을 쓰면서 매일 같이 부딪히는 것이 있다.


바로 나란 나약한 존재다. 그새를 못 참고 다른 것을 하고 있는 나를 매일 매일 발견한다. 휴대폰을 만지작 거리거나, 정작 필요한 것을 검색하지 않고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충격' 따위의 쓰레기 기사를 클릭하는 나를 여과없이 바라보게 된다. 


집중력 저하뿐만이 아니다.


앎과 경험의 한계다. 나는 그것을 감추기 위해 가뜩이나 볼품도 없고 알짜도 없는 글에 거품같은 미사어구를 자꾸만 넣게 된다. 썼다고 지우고 지웠다가 다시 써넣기를 반복하면서, 깨끗했던 지면은 텅 빈 검은 잉크 창고가 되어 버리곤 한다. 그래서인지 지난번 DBR에 보낸 원고는 보기 좋게 퇴짜를 맞았다. 


"신변잡기적인 내용에 너무 많이 시간을 할애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중요한 핵심 포인트 한 두개만 집중적으로 잡고 그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설명하려고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럴싸한 단어와 미사어구는 주제를 흐려놓았던 것이다. 핵심을 찾기가 힘드니, 자꾸만 신변잡기로 핵심을 가렸던 것이다. 


그래. 그녀의 조언이 실제 사업에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말야.


사업도 마찬가지다.

사업이 복잡하면 어렵다. 팔기 어렵고 지갑을 열기 어렵다. 

단순해야 된다. 단순할수록 강력하다. 단순할수록 아름답다.




글도 마찬가지다.

글도 복잡하면 이해하기 어렵다. 책을 열기가 어렵다. 

단순해야 된다. 단순할수록 마침표에 힘이 있다. 단순할수록 아름답다.


글도, 사업도, 예술처럼 아름다워야 한다.




#801211

나는 이제 슬슬 그 볼품없고 나약하고 아무때나 흔들리는 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된 것 같다. 그저 피해서는 답이 없다는 것을 잘 안다. 나는 글을 쓰면서 나를 다시금 알아간다. 그리고 곧 다시 이 빈 껍데기를 벗어 버리고, 나는 변태(變態) 하리라. 


나를 좀 더 발가 벗기자. 좀 더 수치심을 느끼게 관중 속으로 나를 몰아 넣자. 

나는 그 과정에서 또 다른 나를 발견하리라. 나는 할 수 있다.



2주 동안 한 꼭지의 글을 쓰고 있다. 2주 내내 글만 쓴 건 아니지만, 집중이 왜 이렇게 안되는지.. 자꾸 글 쓰기가 싫고 도망가고 싶은 이유는 나의 부족함과 한계를 여과없이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나는 조만간에 이 한계를 넘어설 것이다. 왜냐하면, 그 한계를 알았기 때문이다. 무엇이 부족한지 무엇을 더 노력해야하는지 알게 되었으니, 이제 교육과 반복 훈련을 하면 될 것이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1년 05월 11일

Entrepreneurial
Articles

by Damiao Santana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나는 예술과 기술과 경영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음악을 통해서 경영을 바라보고, 경영을 통해 음악을 바라보곤 했었다.
그런 생각과 행동과 말들을 여태 글로 제대로 옮기지는 못했다. 그래서 아쉬웠다.
(나는 말과 글이 느린 사람이다. 대신에 생각과 행동이 빠른 사람이고 싶다.)

최근에 국내일주 송판선 팀장이 공감가는 글들을 많이 써서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다.
(청림그룹사운드라는 밴드에서 함께 음악을 배웠던 후배이기도 하다. 그래서 아마도 비슷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그의 글에 사족을 덧붙이자면,
음악이든 경영이든, 결국 매일 하루하루의 실천이 그 목표를 달성하게 해준다. 나는 솔직히 그 과정이 즐겁지는 않았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그 과정을 지나 달성한 중간 지점 또는 목표점에 도착했을 때의 그 성취감, 만족감, 희열, 쾌감은 오르가즘보다 더 지독한 것이다.

그것이야 말로 지루하고 비루하게 그 과정을 이겨낸 자만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쾌락이자 오르가즘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는 오늘도 그 오르가즘을 느끼기 위해, 매일 하루에도 열두번씩 부단히 천당과 지옥을 오가고 있는 중이다. 당신은 느껴보았는가??



아래는 국내일주 송판선 팀장의 글이다.



요즘 필자는 정기 콘서트 준비로 한창 바쁜 나날을 보내고있다.
필자는 밴드의 기타를 담당하고 있는데, 합주를 하면서 많은 부분을 배워나가는 요즘이다. 밴드의 합주는 절대로 혼자서 만들 수도없고, 그렇다고 한 사람의 연주력이 뛰어난다고해서 곡의 퀄리티가 높아지지 않는다.

맞지않는 부분은 멤버간에 눈빛으로 대화로 수정해나가고, 본인이 부족한 부분은 개인연습을 통해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나간다. 그것을 나는 '화음'이라고 생각한다.
'화음'이란 개개인의 소리를 하나의 아름다운 흐름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화음의 정의가 '화음이란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렸을 때의 합성음을 말한다. ...') 이는 서로 다른 악기의 소리를 동시에 울렸을 때의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나가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하기에...

여튼, 밴드의 합주 사운드도 '기업가정신'의 측면에서 보면, 참으로 생각할 부분이 많다.

어려운 부분을 연주할 때 스스로 본인 혹은 멤버들과 타협하여 진행하느냐, 아니면 원곡을 그대로 카피하여 진행하느냐의 결정에서 일단 문제가 시작된다.

또다른 부분은, 본인이 하고 싶어하는 성향의 노래와 맞지 않는 노래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위의 두 가지 문제가 요즘 필자가 합주할 때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이다. ^^

합주를 진행할 때, 어느 한 파트에서 준비가 소홀했다거나 부진하면 그날의 합주는 정말 분위기가 좋지않다. 재미있지도 않고, 의욕도 없어진다.
특히 본인의 솔로 혹은 애드립을 진행할 때가 (특히 필자의 경우) 그러한데, 내가 준비한 애드립이 합주 때 어색하게 들리거나 혹은 열심히 카피해서 그대로 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톤이나 다른 부분에서 트러블이 나면 갈등이 시작된다.

또한, 곡 선정에 있어서 본인이 구상하는 레파토리들로 곡이 진행이 안 될 경우에도 심한 갈등이 생겨난다.

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참으로 단순하다.
한번 '다르게 생각하면' 충분히 해결을 할 수있는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Think Different...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표현(97년 애플이 내걸었던 표어)인데 한번 본인의 입장에서 귀찮고 수고스럽더라도 곡에서 트러블이 나는 원인이 본인에게 있다면, 한번 더 연습하고 그래도 안되면 두 번 더 연습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곡의 선택에 있어서 '양보'와 '타협'을 보면 곡 선정의 갈등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이는 '신뢰'와 '협동'이라는 표현과도 맞는 듯하다)

피터드러커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의 1부의 구성은 '경영혁신'에 관해 적혀있고, 2부는 '기업가정신'의 실천에 대해 쓰여있는데, 2부의 시작에서 피터드러커는 말한다. '기업가정신의 시작은 경영혁신이 기초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자신을 먼저 돌아보고 고칠점을 분석해 나가는 것이 '기업가정신'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합주할 때의 트러블의 해결방안도 '기업가정신'의 기초단계인 '경영혁신', 특히 자기자신에 대한 '경영혁신'의 마인드로 생각을 한 번 더 '다르게 생각해본다'면,
해결하지 못할 트러블은 없다고 생각한다.

즉, 풀어서 얘기하자면...
나 자신에 대한 문제점의 자각과 다른 멤버들과의 트러블에 대한 해결방안을 내놓는 것이 '경영혁신'의 시작이라면,
그것을 적용하여 하나의 화음 혹은 일체감을 만들어 내는 것이 '기업가정신'의 시작이 된다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이렇게 '음악'을 통해서도 나는 요즘 '기업가정신'을 생각하고 있다.
다음에는 나의 '전공'에 관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글을 써보기로 해보겠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상기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03월 09일

 

[영국 6일차]

김영신(Home&Book 대표/예술제본가) 선생님과 인터뷰

권순재 회계사님과 저녁식사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크기변환_IMG_2105.JPG

(사진 : 김영신 대표와의 첫 만남)

 

 

오전 11시에 인터뷰가 있다. 오늘은 예술제본가이자 홈앤북이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김영신씨를 만나러 가는 날이다.

이것저것 준비하느라 예상보다 늦게 길을 나섰다. 원데이 티켓을 구매하느라 또 15~20분 정도 소요되었다. 이런 빨리가야되는데!! 혹시 조금 늦을 것 같아서 전화를 계속 했는데 받지 않으셨다. 그래서 문자를 보내놓고 허둥지둥 서둘러서 움직였다. 얼릉 후다닥 튜브를 타고!! 김영신 대표님이 알려준 역에서 내린 다음, 버스를 탔다. 

 

크기변환_P1180493.JPG 

크기변환_P1180509.JPG

크기변환_P1180511.JPG

크기변환_P1180513.JPG

ㅋㅋ

 

지하철 역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red lion 버스 승강장에 도착할 수 있었다. red lion 정류장에서 보니 교회가 있었고, 그 맞은 편에 garage가 있다고 했는데..... 나는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다.

 

다시 전화를 하려고 보니 김영신 대표님의 부재중 전화가 와 있었다. 겨우 전화통화를 하고서야 사무실 위치를 발견했다!!

그녀의 이야기대로 1층에는 garage가 있었고, 2층에 옹기종기 빼곡하게 사무실들이 들어 있었다.

 

크기변환_P1180516.JPG

크기변환_P1180522.JPG

정각 11시 도착!!

 

 

크기변환_P1180758.JPG

안녕하셔요~ 드디어 홈엔북!!!!! 도착!

 

크기변환_P1180755.JPG

그녀의 스튜디오 간판.

 

크기변환_P1180526.JPG

그녀의 작업공간

 

크기변환_P1180529.JPG

크기변환_P1180530.JPG

크기변환_P1180531.JPG

크기변환_P1180534.JPG

크기변환_P1180535.JPG

크기변환_P1180536.JPG

크기변환_P1180713.JPG

인터뷰를 위해서 정리를 좀 하셨나보다. ㅎㅎ

스튜디오(작업실)이 이렇게 깨끗할리는 없을텐데 말이다. 하긴 목공 작업실도 아닌 예술 제본과 디자인을 위한 공간 아닌가! 그리 지저분할 일은 없을 것 같긴 하다.

 

 

크기변환_P1180730.JPG

크기변환_P1180729.JPG

그녀가 작업하고 있는 것 같은 오래된 책들.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우리는 간단하게 인사를 나누고 차를 한 잔 하면서 워밍업을 했다. 첫 만남이지만, 그리 딱딱하진 않은 느낌을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왠지 모를 친근함이 느껴졌다. 나는 작가 출신이나 음악, 미술 등 예술 계통의 사람들은 만나는 것이 무척이나 편하고 좋다. 개성이 강한 그들의 특성상 오히려 일반 사람들은 불편할지도 모르는데, 나는 그런 딱딱함이나 시크함들이 오히려 편하다. (나 역시 성격이나 생각에 굉장히 모가 나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랄까.....)

 

크기변환_P1180545.JPG

(사진 : 디자인한 작품을 걸어놓고 말리는 건조대)

 

나는 동질감?을 가지고, 인터뷰를 시작했다.

 

크기변환_P1180538.JPG

크기변환_P1180540.JPG

송 : 학생일 때는 어떤 사람이였나?

김 : 그저 조용한 학생이였다. 대학교 데이터베이스 관련 시험이 있었는데, 정말 시험공부를 하나도 하지 않고 무작정 시험을 쳤는데, 공부를 하나도 안했으니까 내 식대로 논리를 세워서 풀었다. 그게 다른 친구들과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서 교수님이 인정을 해주셨다. 그때 좋은 성적을 받았는데, 그것이 전공에 대한 흥미의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크기변환_P1180546.JPG

크기변환_P1180549.JPG

크기변환_P1180551.JPG

크기변환_P1180552.JPG

송 : 현재는 예술 제본가이기도 하지만, 인테리어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로서 활동하면서 어려웠던 적은 있었나?

김 : 항상 어렵다. 나는 의뢰가 들어오면 일을 한다. 내 일 자체가 고정고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일이 항상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일정하지가 않은 것이 회사를 운영하는데 어려운 점 중 하나다.

 

크기변환_P1180553.JPG

나 왜이렇게 몰입해서 질문하고 있니?

 

크기변환_P1180557.JPG

크기변환_P1180562.JPG

크기변환_P1180566.JPG

크기변환_P1180576.JPG

크기변환_P1180581.JPG

크기변환_P1180584.JPG

크기변환_P1180587.JPG

김 : 창업 전, 경험은 IBM, 마케팅 회사, 광고회사에 다녔다. 이직을 많이 했는데, 그래서 사실 부모님이 많이 걱정을 했었다.. @#%$^%$@^@^

송 :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으려고 많이 노력했던 것 같은데..... 맞나?

김 : 그랬던 것 같다. 정말 어느 날, 갑자기 책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 그래서 무작정 영국에 왔다.

 

 

크기변환_P1180589.JPG

크기변환_P1180591.JPG

크기변환_P1180598.JPG

크기변환_P1180602.JPG

예술제본한 작품을 보고 싶다고 했더니 그녀가 작업한 책들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그 책을 모두 읽고 난 뒤, 받은 영감으로 책을 디자인 한다고 했다.

 

크기변환_P1180603.JPG

크기변환_P1180606.JPG

크기변환_P1180609.JPG

크기변환_P1180611.JPG

크기변환_P1180616.JPG

크기변환_P1180617.JPG

 

크기변환_P1180619.JPG

크기변환_P1180624.JPG

김 : 정말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서 창의력을 가지고, 책을 디자인하고 만든다. 특히 재료의 특성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제대로 가공할 줄 아는 법이 필요하다.

 

 

크기변환_P1180629.JPG

크기변환_P1180630.JPG

재료에 대해 설명하면서

김 : 옛날 사람들은 재질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종이의 소리를 들어봤다고 합니다.(종이를 손가락을 친다.) 팍팍!!! 파파팍!!!!

 

크기변환_P1180632.JPG

크기변환_P1180634.JPG

크기변환_P1180636.JPG

김 : 재질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책을 만드는 것이 달라집니다. 예술제본가들은 이런 재료의 특성이나 용도, 가공방법에 따른 효과 등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수많은 실험들을 해봐야 터득할 수 있지요. 그런 실험들은 정말 재미있고 시간가는 줄 모를 정도입니다.

송 : 오오~

 

 

크기변환_P1180642.JPG

김 : 참 재미있어요!

 

크기변환_P1180643.JPG

크기변환_P1180644.JPG

크기변환_P1180646.JPG

크기변환_P1180647.JPG

그녀의 웃는 모습을 10단 콤보!!로 촬영했다.

웃는 모습이 소녀처럼 해맑지 않은가?? 인터뷰하면서 무척 자주 웃었는데, 그녀가 웃을 때마다 소녀같은 느낌이 들었다. 마치 아무것도 모르는 순수한 소녀같은 꾸미지 않은 웃음. 사실, 웃지 않으면 조금은 날카로와 보이는데, 특히, 책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는 매우 진지했다. 책에 대한 그녀의 깐깐함과 정교함을 추구하는 성격이 대화할 때 간혹 드러났다.

 

그런 그녀가 예술제본, 복원, 복구 등 책에 대한 작업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사업(인테리어 벽지를 맞춤식으로 디자인하고 컨설팅을 하고 있음)을 하고 있다. 그녀가 디자인한 버들목이라는 작품은 이 곳 런던에서 매우 주목을 받았고, 그 이후로 그녀는 직접 고객의 집에 방문해서 맞춤식 인테리어를 컨설팅해주고, 집 안의 분위기와 고객의 취향과 의도에 맞는 벽지를 골라서 작업을 해준다.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돈을 벌면서 배우고 있다는 그녀. 나중에 인터뷰 글을 통해 그녀의 사업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하게 읽어보고 바란다.

 

인터뷰를 하다가 우리가 배고픈 이들이라는 것을 눈치 챘는지, 김대표님이 먼저 점심을 먹고 하자고 하셨다. 멤버 모두 흔쾌히!? 그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사실, 이 때가 오후 3시가 넘었을 때였다.

 

 

크기변환_P1180688.JPG

오자마자 메뉴를 고르는 진영양.

 

크기변환_P1180689.JPG

다른 애들은 무난한 메뉴를 시켰으나, 나는 김대표님의 영국 전통? 파니니를 시켰다. 나는 어느 곳을 가던지 최대한 현지식으로 먹고 잠자고 느끼려고 하기 때문에 가능한 우리나라에서 경험해보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려고 한다. 그래서 그녀가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나는 그..... 전통 파니니를 시켰다. 메뉴 이름은 아마 쌀라메인 것 같은데, 소금에 절인 멸치(대박 큰.....)가 빵 사이에 끼여있었다. (지금 글을 쓰면서도 그 멸치 비린내가 나는 것 같다. 콜라를 한 잔 마시고 글을 써야겠다.)

나는 그걸 먹고 정말 혼이 났는데, 내가 한 입 먹고 나서야 그녀가 한 번 먹고 그 뒤로 먹지 않는다고 이야기 해주었다. 나는 그녀의 말에 적극 공감했다. 그래도 나는 끝까지 먹었다. ㅠㅜ;;;;; 그래도 승현이나 진영이는 느껴보지 못한 영국 음식 아닌가!! 니들이 멸치 파니니를 알아???!!!!

(그러나 다음에는 멸치 절인 파니니를 먹지 않으리라!!)

 

 

크기변환_P1180690.JPG

크기변환_P1180693.JPG

종업원 : 요컨 안되요~ 조컷도 안되요~

 

크기변환_P1180694.JPG

이것저것 안되는? 메뉴를 골라주는 종업원.

 

크기변환_P1180697.JPG

깔끔하고 단순한 식당.

 

크기변환_P1180699.JPG

이게 참 맛있었다. 값은 젤 비싼 것이기도 하다. 이건 승현이꺼.

 

크기변환_P1180701.JPG

보이는가? 빵 사이에 흐느적 거리는 멸치의 모습이!?

 

크기변환_P1180702.JPG

진영이 것도 괜찮았다. 아마 햄이 들어간 무난한 파니니였던 걸로 기억한다.

 

그렇게 어렵고 힘든 시간이 지나고..... 다시 인터뷰를 하러 그녀의 스튜디오로 향했다.

일단..... 무엇인가를 마셔야 된다는 압박감이 위장에서 소리쳤다. 아욱..... ㅠㅜ;;;;;

오자마자 나는 홍차를 한 잔 더 들이켰다. 홍차의 탄닌성분은 멸치 비린내를 없애주었다.

오우!! 다행!!

 

 

크기변환_P1180703.JPG

그녀가 사용하고 있는 가죽재료들.

 

크기변환_P1180704.JPG

프레스기.

크기변환_P1180728.JPG

작업대의 모습. 아이팟이 보인다.

 

크기변환_P1180705.JPG

히팅기(금박 작업을 할 때, 쓰이는 도구이다.)

 

크기변환_P1180706.JPG

요것도 프레스.

 

크기변환_P1180707.JPG

요건 알파벳 글자들. 책에다 대고 저걸 망치로 치면 글자가 새겨진다. 저걸 머라고 하더라..... 까먹었다.

 

크기변환_P1180708.JPG

각종 손도구들.

 

크기변환_P1180709.JPG

공구함.

 

크기변환_P1180710.JPG

각종 공구집.

 

크기변환_P1180711.JPG

이 분은 누굴까??

 

그녀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존경하는 할아버지의 모습이다.

 

크기변환_P1180712.JPG

수학의 정석이 보인다. 스튜디오를 둘러보다가 발견한 수학의 정석.

나는 바로 물어보았다. 예술하고 디자인하는 작업하는 스튜디오에 왜 수학의 정석이 있냐고??

그녀는 머리가 아프거나 답답할 때, 수학 문제를 푼다고 했다. 왜냐하면 수학은 대부분 정답이 있는 문제들이라서 그렇단다. 예술처럼 답이 없는 것과 다르게 수학은 차근차근 하나씩 풀어가는 맛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도 미분/적분까지란다. ㅋㅋㅋ 저도 미/적분까지는 괜찮았어요. ㅋㅋㅋ 참고로 난 불량 기계공학도이다. 교수님 죄송해요~ 어디가서 공학도라고 이야기 하지 않기로 했었는데.....)

 

크기변환_P1180714.JPG

크기변환_P1180719.JPG

크기변환_P1180723.JPG

휴!! 차 한잔을 마시니까, 입 안에서 맴돌던? 멸치가 쏙 들어갔다. 휴~~ㅋㅋㅋ

간단하게 차 한 잔을 마시고 우리는 그녀가 작업(복원/복구)하고 있는 책을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크기변환_P1180754.JPG

그녀는 자신이 복원/복구한 책들을 보여주면서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었다.

 

크기변환_P1180748.JPG

크기변환_P1180743.JPG

저것은 성경책(정식 성경으로 인정받지 않은 복음내용이 담긴 책이다.)

 

크기변환_P1180741.JPG

크기변환_P1180739.JPG

크기변환_P1180736.JPG

1800년대의 책. 그녀에게 복원 의뢰가 들어온 것인데, 아직 작업을 하지 않았다고 했다.

 

 

크기변환_P1180735.JPG

모든 인터뷰가 끝나고 기념촬영!!

 

 

인터뷰가 끝나고 우리는 권순재 회계사님과 저녁식사를 하러 뉴멀동으로 이동했다.

 

크기변환_P1180760.JPG
이동하는 가운데..... 괴상한 오토바이가 있길래 찍었다. 저건 무슨 리폼? 어디서 저런 발상을 했누?

 

크기변환_P1180805.JPG

크기변환_P1180801.JPG

 

 

권순재 회계사님을 만나서 저녁을 얻어먹었다.

사실, 인터뷰를 요청드렸으나, 인터뷰는 끝끝내 고사하시고, 젊은 친구들이 좋은 뜻으로 멀리까지 와서 고생하고 있으니 저녁을 사주겠다고 하셔서 온 것이였다. 사실 소주 한 잔 하주시겠다고 했는데, 우린 민박 집에서 매일 한식에 라면을 먹고 있어서 영국식으로 사달라고 진영이가 외쳤다!? 그래서 뉴멀동에서 좀 떨어진 경마장 앞에 전통 영국식 식당으로 갔다.

 

크기변환_P1180761.JPG
1875년에 지어진 식당건물.

권순재 회계사님은 이것 저것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며, 맛있는 저녁을 사주셨다. 

 

크기변환_P1180786.JPG

잘 먹겠습니다.

 

크기변환_P1180783.JPG

진영이의 밝은 표정.

 

크기변환_P1180779.JPG

크기변환_P1180778.JPG

크기변환_P1180772.JPG

크기변환_P1180770.JPG

크기변환_P1180767.JPG

쫍쫍!! 맛있게 보이죠?? ㅎㅎ

 

크기변환_P1180791.JPG

 

크기변환_P1180795.JPG

나도 그 날 무진장 먹었다.

 

크기변환_P1180792.JPG

초토화 된 접시들!!

 

 

권순재 회계사님은 영국에서 20년 넘게 살고 있으면서, 한국인이나 기업보다는 영국 현지인이나 기업과 일을 한다고 했다. 부드러운 말투와 좋은 매너를 갖추신 분. 그런데 대학교에서는 풋볼(미식축구와 다른..... 장비없이 플레이하는)을 하셨다니, 깜짝 놀랬다. 살을 무진장 빼신 거라고 했다. 한 때는 90kg이 넘었다고!! 그의 사진을 남겨놓고 싶었으나 그러지 못했다.

 

고맙습니다!! 권순재 회계사님!!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1년 1월 23일



변태적 Entrepreneur의 관점에서 본,


Without Steve Jobs,

Can Apple Stay Powerful?


위의 질문에 나는 엉뚱한 질문을 다시 던지고 싶다.



스티브 잡스는 과연 훌륭한 경영자인가??

나는 스티브 잡스를 훌륭한 경영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는 사실 스티브 잡스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을 서두에 밝히고자 한다. 가끔 눈에 띄는 기사를 봤고, 빌게이츠와 함께 나오는 영화 한 편, 아이폰을 쓰고 있으면서 불만족함을 느끼고 있는 빠도 아닌 안티도 아닌 평범한 사람이다. 개코도 모르는 놈이 스티브 잡스에 대해 논한다는 것 자체로 애플빠에게 돌을 맞을지도 모를 일이지만 몇 자 적어보려 한다.

그의 언행을 보면 괴팍하다 못해 미친놈이라는 소리도 들린다. 사실이다.
그리고, 아래의 무영씨의 글에서도 어떤 경영학, MBA의 수업에도 나와있지 않은 경영스타일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의 경영스타일을 기존의 경영학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기엔 일관된 패턴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사실 아래 글의 예는 극히 일반적인 예이며, 그런 것?(사실 온갖 잡스런 일들이 넘쳐난다.) 가지고 스티브 잡스의 괴팍함과 엉뚱함을 논하기는 너무 약한? 소재들이다.
(여튼, 그 괴팍함을 까발리기 위한 것은 아니니 검색을 통해 찾아보기 바란다.)



스티브 잡스는 비지니스 감각이 뛰어난 예술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독특한 유전자를 보유한 CEO. 스티브 잡스.
우리는 그를 바라볼 때, 경영자로 바라보기 보다는 예술가로 보아야 더욱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그의 언행은 모두 철저히 그의 철학과 사상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가 총괄지휘해서 만들어낸 제품에는 모두 그가 추구하는 가치와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의 활동은 경영활동이라기 보다는 예술가적 활동이며, 그것이 사람들에게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이윤추구 형태로 표현되어졌을 뿐이다.

아이패드를 소개하면서, 애플의 정체성에 대해 그는 그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이것은 애플에서 경영자로서 그의 정체성이기도 하다.


애플은 인문학과 기술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라고 직접 언급했듯이, 그는 철학을 바탕으로 경영활동을 하는 예술가이다.
(1500과 600의 숫자가 갖는 의미에 대해 고민하신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사실 그에겐 기업가, 예술가라는 표현 조차도 그의 생각과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과 방법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최근 그의 행보를 볼 때, 그의 생각에 대한 깊이는 이미 인간에 대한 본질과 핵심에 가까이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얻은 영감과 솔루션들은 각각의 치밀하게 구조화된 판을 통해 가상의 현실을 그려놓고 제품을 만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생각의 정점'에서 탄생된 밑그림을 수많은 개발자와 디자이너, 마케터가 구체화시키고 현실화시키고, 이상화시키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는 독재자와도 같다. 아니, 그럴 수 밖에 없지 않은가??

누구도 보지 못한 그 길과 판을 그는 깊은 고뇌와 사고의 과정을 통해 뚜렷하게 보고 왔으니, 단편적인 모습만 이해한 직원들에게 그것을 일일이 설명하고 구체화해 가는 과정에서 그의 에너지는 가히 폭팔과정을 겪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길은 이미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그 길에서 벗어난다면 잘못된 길로 접어드는 것이나 다름 없는 것이다. 그러니 그것은 독선과 독재에 가까운 Top - Down 방식일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동양의 도제(徒弟)방식과 유사할 것이다.

(하지만, 나의 경험으로 봤을 때, 여태까지 그가 만들어온 제품들 중 그의 만족을 정말 제대로 충족시켜준 제품은 거의 없을 것 같다. 보통 이런 예술가들은 자신에 대한 끝없는 욕심과 만족을 모르는 성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끊임없는 목마름으로 인해 애플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혁신을 하고 있다.
초창기 제품에 네이밍과 최근 제품의 네이밍 차이에서도 예술가적 그의 생각과 깊이가 더욱 더 성숙해졌음을 알 수가 있다.(예술가에게 작품은 곧 그 자신이다.)

그렇게 그의 철학이 세상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애플TV와 같은 실패 사례도 있지만, 그것이 스티브에게는 보다 깊은 영감이 될 것이다.)




이렇듯, 스티브 잡스는 비지니스에 능통한 예술가이며, 그는 예술적, 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그의 독특한 언행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런 그가 만약 애플을 다시 떠난다면?


단언콘데, 애플은 스티브 잡스의 공백을 메우기가 어렵다.

그것은 몇 년간의 학습?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다 년간의 단기학습?으로 이루어질 것이였다면 애초에 스티브 잡스가 복귀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이는 그 이상의 학습과 고뇌와 철학이 필요한 것이다.

조직의 모든 곳에 그의 숨결과 그의 생각에 길들여져 있는데, 누가 그를 대신 할 것인가??
설령, 스티브 잡스와 유사한 뛰어난 예술가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 자리를 앉겠다고 쉽게 결정하기도 어려울 것이며, 스티브 잡스에 길들여진 조직원들의 저항 또한 만만하지 않을 것이다.

스티브 잡스가 없는 애플은 정주영 없는 현대그룹처럼 갈기 찢어져 원대한 꿈의 기업에서 생존을 고민해야 할 기업으로 전락 될 가능성이 높다.

스티브 잡스가 없는 애플이 자유분방함, 시스템적 사고와 행동의 균형적 모델을 찾을 수 있다면 희망은 있겠지만, 그것에 대한 열쇠 또한 스티브 잡스에 달려 있다고 본다.


어쩌면 이러한 점에서는 삼성이 애플보다 유리할지도 모르겠다.



Steve Jobs,
그의 사고는 커다란 혼돈과 패턴의 공존이다.
그것은 영원할 것 같은 에너지를 만든다.





아래는 MBA7.kr 손무영씨의 원문.


by MBA7.kr Mooyoung
최근에 애플의 스티브잡스가 병가를 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애플의 주가가 폭락을 하고 덕분에 삼성의 주가가 급상승을 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아무래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의 위기는 곧 이어 그 다음을 이어가고 있는 삼성과 같은 전자업계에게는 수혜가 될 것이라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겠지요. 우리로써는 삼성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반가운 소식이겠지만 미국쪽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소식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듯 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스티브 잡스가 없을 당시 애플은 파산 직전까지 갔던 회사이기 때문 입니다. 
애플(Apple Incorporated)은 스티브잡스와 그의 동료들(스티브 워즈니악)이 1977년에 세운 기업이지만 스티브 잡스는 1985년경, 자신이 채용한 John Sculley에게 밀려 CEO자리를 내주고 심지어는 해고당하기에 이릅니다. 스티브잡스는 애플을 떠나, Pixar등과 같은 기업을 맡아 운영하며, 크게 키우는데 성공하였지만 스티브가 없는 동안 애플은 별다른 성과를 전혀 내지 못하고 기업은 지속적으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습니다. 결국 1996년경, 애플은 파산직전에까지 이르렀고 경영학자들도 애플의 회생가능성에는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습니다. 파산신청만을 앞둔 애플이 던진 마지막 카드가 바로 스티브 잡스를 불러들이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스티브 잡스가 애플로 복귀하자마자 아이팟, 아이튠즈 등의 각종 혁신적인 제품을 내놓았고 애플의 주가는 고공행진을 하기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만을 보고 판단하면, 애플의 역사는 거의 스티브 잡스의 역사와도 같아 보입니다. 때문에, 미국의 투자자들은 스티브잡스의 부재가 애플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것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는 듯한 표정입니다. 애플의 과거에서 알아본 분명한 사실은 스티브 잡스가  애플을 떠나 있는 동안, 애플은 어떠한 혁신적인 제품도 내놓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투자자들은 스티브 잡스가 병가를 낸, 향후 1~2년간, 애플이 시장을 선도할 만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는 의견에 부정적인 것 입니다. 그렇게 본다면 지금은 애플의 주식을 처분해야 할 시기가 맞습니다.

하지만 반대의 의견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CEO들은 아이디어가 고갈되기 시작할때 즈음, 안식휴가를 갖곤 합니다. 스티브 잡스도 분명 예외는 아닐겁니다. 병가를 이유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무언가 새로운 무기를 준비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그렇다면, 스티브잡스가 복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애플의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과연 스티브잡스의 부재가 애플의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칠까요? 그것은 아무래도 조금 더 두고 보아야 할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 사건으로부터 배울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권력은 현실적인 데이타보다는 이미지가 투영된 모습으로부터 나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 입니다. 이미 "애플"이라는 기업은 "스티브잡스"라는 이름과 강력한 연결고리가 생성되어 버렸습니다. 때문에, 스티브 잡스가 빠지는 애플에 사람들은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사례들이 많이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창업주가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는 순간부터 주식이 폭락하기 시작하기도 하였고 여의도 순복음 교회의 경우에는 성도들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을 버티지 못하고 결국 조용기 목사님이 은퇴를 번복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게 현실적인 결과와 상관없이 이미지만으로 기업의 운명이 결정되는 현상을 경영학에서는 "reality distortion field" 라고 부릅니다. 현실이 무시되는 경향을 일컫는 말입니다. 사실 애플의 경우, 지금과 같이 업계의 선두를 달리지 못하던 예전에도 "창의성"은 인정받을만 하다는 평을 항상 들어오곤 했습니다.

애플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 있는 또 다른 사실은 "호감도"는 성공의 필수요소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얼마전에 스티브 잡스가 무심결에 낙서하듯 적었던 2011년 계획이 지나가던 사람에게 입수되어 인터넷에 공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이것을 놓고 진짜라는 둥, 가짜라는둥 말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 흥미를 끄는 대목이 있습니다. 8. Fire somene on their birthday (생일에 해고하기) 라는 내용인데요, 이것은 가짜일지도 모르는 기사의 흥미거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스티브 잡스의 독특한 경영방식이기도 합니다. 한번은 애플의 직원인 Robert Sutton가 스티브 잡스에게 보고하는 도중, 스티브 잡스가 "당신 해고야!"라며 해고를 통보했답니다. 그래서 그는 낙심하며 사무실로 돌아와서 짐을 싸고 있는데 스티브가 들어오더니 "지금 뭐하시는거에요?" 라고 묻더랍니다. 그래서 "떠날준비 하는데요..." 라고 대답했더니 스티브가 웃으며 "아하! 내가 말한 것은 그런의미가 아니었습니다. 다시 재고용하겠습니다." 라고 말하더랍니다. 스티브는 이런.. 좀 이해할 수 없는 방식의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성공에 성공을 지속하고 있기에 망정이지 만일 애플이 큰 성과를 내고 있지 못했다면 아마도 스티브의 이러한 행동은 최악의 CEO라며 구설수에 올랐을 겁니다.

사람은 어느정도 미쳐있어야 제대로 된 인재라고들 하죠? 결론적으로 볼때, 스티브의 독특하고 괴팍(?)한 경영스타일은 현재 MBA에서 공부하고 있는 어떤 경영학 책에도 나와있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스티브가 부재중인 애플의 경영성과에 오히려 관심이 더 쏠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마도 분명히 스티브의 공백을 메울 창의적인 사람은 얼마든지 있을 겁니다. 비록 스티브만큼 정신이 오락가락 한다는 소리를 들을만큼 미쳐있지(?)는 않더라도 말입니다. 

스티브가 빠진 애플이 당장 해야 할 일은 "스티브"라는 스타CEO의 환상을 메꿀 새로운 인재의 발굴 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지속해오던 혁신을 지속하는 일 입니다. 그것이 성공한다면 아마도 애플은 스티브잡스를 대체할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 http://blogs.hbr.org/cs/2011/01/steve_jobs_a_study_in_power.html


myson000@gmail.com
< 저작권자: Mooyoung @ MBA7.kr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