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15일


Entrepreneur's Diary #130

#제 130화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



내가 하는 일에서 과연 무엇에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해야 할까? 


오늘 아침에 있었던 사건을 가지고 나의 단상을 공유하고자 한다.



Korail 직원이 버튼을 누르고 문을 열고 열차칸으로 들어왔다. 문 입구에서 가볍게 목례를 한 뒤, 이제는 잊혀진듯한 벽돌 크기의 PDA를 살펴보며 좌석을 확인하며 걸어왔다. 뚜벅뚜벅.  나를 지나친 그는 계속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며 한 걸음씩 걸었다. 뚜벅 뚜-벅뚜. 그가 갑자기 발걸음을 멈췄다. 그리곤 머리가 히끗한 노인에게 정중히 검표를 했다.

노인은 그에게 표를 보여주고 자리를 확인 받은 모양이다. 
"이 사람아! 당신은 (표가 있나 없나) 감시를 하는게 아니라, 뭐가 불편한 점이 있니 없나 서비스를 하는게 목적이야. 왜 서비스를 안하고 감시를 하냐고!"

그는 '알겠습니다' 라고 웃으며 대답했지만, 그 목소리에는 이미 이런 일은 상당히 많이 겪었고 결코 당황하거나 흔들림없는, 맑고 친절한 목소리와 고착된 환한 미소로 응대했다. 메뉴얼!?대로 대처?한 것이겠지. 그는 진정성있는 자각보다는 진상고객으로부터 빠른 회피라는 인상을 심어주곤, 문 앞까지 몇 걸음 더 걸어가서 돌아선 뒤 웃는 얼굴로 인사를 하고 문을 열고 나갔다.

그는 무엇을 느꼈을까?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그 어떤 깨달음이 있었을까? 그가 관찰해야할 것은 PDA가 아니라, 고객의 표정이다.


무엇이 본질인지 깨닫게 해준 흰 머리 노인에게 통렬함, 감사함과 동시에 무언가 알 수 없는 전우애?를 느꼈다. 표면적 과업때문에 본질적 목적을 잃어버리는, 그런 우를 범하지 않았는지 오늘도 반성해보고 실천해야 할 아침이다.


* CS강사 또는 CS분야에 계신 분들에게 꼭 하고 싶은 이야기이기도 하다. 근본도 모르는 천민시대의 생각과 동작과 말로 이들을 매뉴얼라이제이션시키지 말아줬음 한다. (특히 무릎서비스, 누가 왜 이들을 무릎 꿇게 만드는가!)

현장에서 서비스하는 이들도 인격이 있는 하나의 존재로서 인정 받아야 하고, 그 존재로서 바로 서야 타인을 세워줄 수 있다. 스스로도 제대로 못 서면서 어떻게 남을 챙기겠나. 나도 반성해야지. 나부터 잘하자.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3년 07월 19일


Entrepreneur's Diary #101

#제 101화 원판불변의 법칙은 절대적인가? 상대적인가?




(사진 : Robert Irwin의 '무제, 1967' 작품 위에 낙서)


#로버트 어윈(Robert Irwin in 대전시립미술관 미국미술300년특별전시회)에 대한 질문
네 개의 시선으로 인해 원판은 다른 형태의 모습을 띄고 있다.

내가 보고 있는 것은 원판인가? 그림자인가? 원판과 그림자 모두인가?
무엇이 진짜 본질이고 진실인가? 원판 그 자체인가? 아니면 그림자인가? 원판과 그림자 모두를 포함한 것인가?

우리가 보고 싶은 데로 보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바로 볼 수는 없는 걸까? 무엇이 본질이고, 무엇이 진실인가?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있는 그대로 본질 그대로를 바라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진실에 가까워질 것인가?






#창업학적 관점
원판이 사업 또는 제품과 서비스라면, 조명은 시장과 마케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관객은 우리의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원판? 그림자? 원판과 그림자? 또 다른 그 무엇?




각각의 조명은 각각의 기회이기도

각각의 조명은 각각의 욕구이기도

각각의 조명은 각각의 필요이기도


나란 존재는 어떠한 조명으로 어떠한 모습으로 인식되어 있을까?

무엇이 변하는 것이고, 무엇이 변하지 않는 것인가?

원판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그림자는 변하는 것인가?

~크릉크릉~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나?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2년 07월 02일

Entrepreneur's Diary #060
제 60화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할 일을 하는 것.

(출처 : 네이버 갤러리)


요즘 일하면서 많은 것을 배운다.

꼼꼼하고 세심한 것은 좋다. 하지만, 내 위치(또는 직책)에 적합하게 꼼꼼해야하는 분야와 범위가 달라져야 할 것 같다. CEO가 꼼꼼하게 봐야할 것과 부장, 과장, 대리가 꼼꼼하게 봐야할 분야는 다르지 않겠는가!?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적합하게 꼼꼼함과 세심함을 발휘해야 일이 빛이 나고 정확해진다. 그렇지 못하면, 일이 쒜엣!!이 된다.

결국, 각자 자기가 맡은 분야에 책임을 지고 일을 해야한다. 각자 맡은 것을 제대로 수행하거나 책임지지 못할 때, 문제는 발생한다. 보통 창업가가 이걸 제대로 못해서 창업기업을 보다 크게 성장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큰 일을 하는 사람은 큰 일을 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나는 그것을 배워야 한다. 지금은 내가 모든 일을 다 해야하고 모든 것을 다 책임져야하지만, 수백명/수천명/수억명이 함께 일을 하는 기업을 만든다면.. 내가 해야할 일은 수백가지/수천가지/수억가지의 구미가 당기는 훌륭한 제안들을 거절해야 하는 일이다. 

Entrepreneur가 해야할 일은 보다 핵심가치에 집중하고 본질을 정확하게 추구하는 것이다.


자신의 위치와 역할과 책임을 모른다는 것은 자신이 정확하게 해야할 일을 모른다는 것이며, 그것은 자신의 목적과 목표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도 정확하게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은 결국,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을 정확하게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송정현'을 정확하게 아는가?
나는 '송정현'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정확하게 아는가?
나는 '송정현'이 어떤 목적과 목표를 가졌는지 정확하게 아는가?
나는 '송정현'이 해야할 일과 잘하는 일을 정확하게 아는가?
나는 '송정현'의 위치와 역할과 책임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가?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1년 01월 19일

 

 

서울은 겨울이라 춥고, 창업가는 돈이 없어 춥다.

 

원동이형 사무실로 가는 길은 손이 너무 시려워서 아이폰 버튼누르기가 힘들었다.

손은 꽁꽁 얼었고, 이 놈의 코감기는 떨어질 생각을 안한다.

 

킁킁~ (ㅡ,.ㅡ)

 

여원동 대표이사는 얼마 전까지 (주)마이미디어DS라는 IT기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최근에 기업합병을 거쳐 DBK networks라는 기업의 대표이사를 하고 있다.

IT기업에서 100억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회사는 그다지 흔하지 않은데,

그 중 하나임을 보면 여원동 대표이사의 경영능력을 짐작할 수 있다.

나는 항상 그에게서 여유로움과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배우려고 노력한다.

 

 

10분 정도 기다려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응접실로 가서 그와 대화를 했다.

(여원동 : 여 / 송정현 : 송)

 

여 : 정현아, 나는 니가 부럽다. 나도 가고 싶다.

송 : 개살구죠. 형. 결혼을 안해서 할 수 있는거죠.

여 : 그래도~

송 : 좀 조언해줄만한 좋은 아이디어 없으세요?

여 : 응. 한번 고민해볼께.

 

쑥떡쑥떡쿵짝쿵짝 (갑자기 쑥 떡이 먹고 싶네.)

 

-생략-

 

여 : 근데 다른 사람한테 후원받고 가는 건 기업가정신이 아니지 않나?

      자신의 힘으로 한 달 동안 노가다를 뛰든 뭘하든..... 생고생하면은

      내가 이 세계일주를 가려고 이만큼 노력했다는 진정성이 느껴지잖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고 가는 건 좀 외부에서 봤을 때 좀 그렇지 않겠어?

      형이 사업하는데도 느끼는 건데, 가능하면 자기자본으로 하는게 젤 좋거든.

 

송 : 음. 형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어요. 맞습니다.

      근데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저는 오히려 그 반대로 생각했어요.

 

      일단 자기가 돈을 벌어서 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 아닙니까??

      그건 돈만 있으면 기업가정신이든 세계일주든 다 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작년부터 지금까지 돈 벌었으면, 승현이든 저든 얼마든지 그 비용은 마련했을 겁니다.

      형이 잘 아시잖아요. 승현이는 돈만 벌 것 같으면 정말 잘 벌 수 있는 애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지금도 하루에 2~4시간씩 자고 일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80~100시간 정도 일을 하는 것 같습니다.

      승현이도 밤잠을 잘 못잡니다. 우리 서포터즈 멤버들도 밤을 새는 경우도 많구요.

      지금도 생 노가다나 다름없습니다.

      

 

      승현이가 맨 처음에 이야기 했었어요. 돈을 벌어서 좀 더 보태서 가자고.....

      저는 몇 날, 몇 일을 그 안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돈을 벌어서 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기업가정신이 아니다! 왜냐?!

 

      창업기업은 외부의 자금을 투자받고, 그들의 꿈을 더욱 크게 실현해나간다.

      창업가는 외부의 투자가 들어올만한 판을 짜고, 그래서 자연스럽게 투자가 유치되는 것이다.

      투자가 유치되고 난 뒤부터는 더 큰 판을 짜고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고 제공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외부자금이 들어올 수 있는 판을 만들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이 되어야 한다.

      나는 큰 판에서 놀지 말고 큰 판을 만들어놓고 다른 사람이 그 판에서 놀게 하자.

      최소 100억에서 수천억, 수조까지 만들수 있는 그런 판을 짜자.

 

      내가 5,000만원도 투자를 못받으면서 어떻게 창업해서 큰 판을 짤 수 있겠는가!

 

      누구나 일정기간 돈을 모아서 갈 수 있는 그런 기업가정신 세계일주가 아닌,

      이 프로젝트를 정말 Entrepreneurial Project로 만들어보자.

      우리가 투자를 하고, 외부자금이 들어올 만한 판을 만들어서 일부 후원을 받자!

 

      그것이야말로 진짜 기업가정신적인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다.

 

 

#43789200

내 똘아이같은 생각을 고맙게도 승현이는 순순히 받아들였고, 그렇게 해서 단 둘이 한 달에 약 100 ~ 150만원 정도를 운영경비로 써가면서 여태 준비를 했다. 틈틈이 생기는 일거리로 용돈벌이도 하면서 손실을 최대한 줄였다. 그러면서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오트만 회장도 만나게 되어, 우리 프로젝트를 글로벌 프로젝트로 만들 방안을 함께 마련하고 있는 것이고, G20 Young Entrepreneur Alliance에서 발표를 통해 각 국 대표들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등 후원기업이 들어올만한 판을 짜는 것에 지금까지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처음에는 북치고 장구치면서 품바처럼 세계를 돌아다니려고 했던 아이디어가 커지고 커져서, 전 세계 청년들의 꿈과 희망 전도사가 되기 위한 프로젝트로 변모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고민과 고충이 있었다.

근데 막상 이 판을 가지고도 메인스폰서를 유치하지 못했다. 경기가 어려운 탓도 있겠지만, 그것은 사실 핑계에 불과하다. 꼬추가 발딱 설 만큼의 섹시하고 매력적인 것을 그들에게 주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런 판단은 본능에 관계된 것이고, 직관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 고객(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욕망, 욕심을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이다.

 

한마디로 내가 후원을 받지 못한다면, 내가 만든 판은 현재 가치가 그 정도라는 것이다. 나는 외부상황을 탓하지 않겠다. 그런 상황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쭉 그래왔던 것이기에 나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내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느냐에 모든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내가 이야기 하는 것은 현재가치이며, 본질가치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Entrepreneur(창업가)가 되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지금은 5,000만원 후원유치도 다 못해서 빌빌거리고 있지만, 다음에는 1억, 그 다음에는 10억, 그 다음에는 100억, 그 다음에는 수조원의 판을 만들어서 이 우주를 변화시키고 싶다.

나는 좀 더 매력적이고 섹시한 판을 만들 것이다. 내가 만든 판이 현재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가치를 평가 받을지는 몰라도 나는 그것에 얽매이지 않고 열심히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나와 함께 하는 모든 친구들과 함께 잘 할 수 있다.

 

 

#347091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이래서 안된다. 저래서 안된다.'를 얘기하고 도전하지 않는 것을 합리화?시킨다. 하지만 Entrepreneur(창업가)는 이런 상황이나 요인에 대해 아래와 같이 생각한다.

충분히 자신이 짊어질 수 있는 위험인가?

어떻게 해결하거나 회피할 수 있을까?

대안과 최선은 무엇일까?

기존의 룰 자체를 바꿀 수는 없을까?

 

 

결국, Entrepreneur(창업가)는 기회의 관점에서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창업가는 기존에 해결되지 않던 문제에 '새로운 기술/기회/법칙 등' 활용하여, 혁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안을 제시하는 일을 한다.

 

서두에 창업가는 돈이 없어서 춥다라고 언급했지만, 사실은 돈이 없는게 아니라 문제해결능력이 없는 것이다.

문제해결 능력은 사실 생각, 아이디어에 달려있는데, 좋은 아이디어가 없으면 그것을 해결하기가 힘들다. 나도 후원을 유치하기가 매우 힘든 상황인데, 내 아이디어와 역량이 모자라서 그런 것이라 생각된다. 내가 그런 판을 못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자들의 정확한 니즈를 파악해서 그 결과를 새롭게 만드는 판에 적용시키고, 그 욕구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면 사람이든 돈이든 그 판에서 노는 것이다.

 

 

그것은 일부 선구자적인 사람(창업가, Entrepreneur)만이 그 가치(미래가치, 본질가치)에 중점을 두고 행동하고 실천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 가치로 판단하거나 의사결정하기 때문이다. 미래가치를 추론하고 알아보는 사람들도 많이 있지만, 미래가치를 두고 의사결정을 하고 지속적으로 행동하고 실천하는 이는 드물다.

그래서 얼리어답터의 성향을 가진 선구자, 혁신자, 창조자만이 의사결정과정까지 다다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불굴의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하루하루를 살아낸 자만이 그 결과(성패에 관계없는)를 확인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자격이 없다.)

 

이런 사람은 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움직여 나간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